본문 바로가기

기초

OSI 7 LAYER

웹 취약점 대회에 나가고 기초를 정확히 해야겠다는 느낌을 받고 마음을 다잡고,

처음부터다 공부를 시작하는 마음으로 블로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.

 

출처 : 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27394458144ECD30

OSI 7 LAYER

1.물리(Physical) 계층 :
단말기기와
전송매체 사이의 인터페이스
Ex)
눈에 보이는 것들 랜선, 공유기 등등

2.데이터링크(Data Link) 계층 :

물리적 링크를 통해서 테이터를 오류 검출, 흐름제어를 통해 신뢰성 있게 전송
-
주로 MAC 주소를 이용해 통신
Ex) MAC
주소는 사람의 주민번호처럼 각각 다르기 때문에 그룹화가 되지않고, 바꾸기 쉽지않다.

3.네트워크(Network) 계층 :
논리적 주소체계를 정립하여 경로제어(라우팅)를 한다.
-
주로 IP 주소를 이용해 통신
Ex) IP
주소는 집주소처럼 같은 별명을 가진 사람을 논리적으로 그룹화 시킬 수 있고 XX동과 같이 그룹화 되어있기 때문에 최적의 경로 설정이 가능하다.

4.전송(Transport) 계층 :
프로토콜과 관련된 계층으로 오류 복구, 흐름 제어 담당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

5.세션(Session) 계층 :
응용 환경에서의 사용자 위주의 논리적인 연결접속 설정 및 헤제
Ex)
로그인 과정을 떠올리면 로그인하면 일정시간 동안 이 끈이 생기고 로그아웃하면 끝이 사라진다.

6.표현(Presentation) 계층 :

전송되는 데이터의 의미를 잃지 않도록 표현
Ex)
단어를 메시지를 기계가 읽을 수 있도록하고, 이를 작은 크기로 압축시키고, 누군가 이 단어를 가로채 해독을 못하게 하도록 암호화한고, 응용 계층에서 이해할 수 있게 응용프로그램에 맞춰 다양하게 확장자를 포멧하여 구분한다.

7.응용(Application) 계층 :
사용자가 다양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환경을 지원한다.
Ex)IE,
메일, 게임 등

'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Docker 기본개념  (1) 2020.12.25
보안 시스템 장비 (정리)  (0) 2020.12.23
[맥]해커스쿨 FTZ trainer 1~10 정리 ( 리눅스 기본 )  (0) 2020.12.20
Burp Suite Proxy 사용법  (0) 2020.12.11
Web 구조  (0) 2020.12.09